설치
pip install jupyter
버전확인
jupyter --version
설정파일 생성
jupyter notebook --generate-config
설정파일 편집
vi ~/.jupyter/jupyter_notebook_config.py
주석처리된 코드가 엄청 많기때문에 찾기 귀찮음으로
인터넷에서 찾은 필수항목만 맨앞에 삽입
c.NotebookApp.ip = '[ec2의 private ip]'
c.NotebookApp.open_browser = False
c.NotebookApp.notebook_dir = u'/home/ubuntu/' #원하는 폴더 지정가능
c.NotebookApp.port_retries = 8888 #원하는 포트 선택가능
다음 ec2콘솔 보안설정에서 포트를 개방해줘야 한다
패스워드 생성/변경
jupyter notebook password
서버실행
jupyter notebook
[Public IP]:8888로 주피터 노트북 원격 접속!
팁
screen 보다 나은 방법으로 서비스데몬 등록이 있다
팁2
주피터랩(jupyter lab)이라는 것이 있다. 웹브라우저를 IDE처럼 보이게 해주는 아주 좋은 툴.
한번 써보길.
강추
설치 : pip install jupyterlab
실행 : jupyter lab
일반적인 주피터노트북 설정이 끝났다면 랩은 그냥 설치만 하는 되는듯.
주피터노트북을 설치 하지 않고 랩만 설치할수 있는지는 모르겠는데 아마 안될듯
팁3
주피터허브. 다중 사용자를 위한 주피터환경
공식사이트 에서 따라 설치하면 된다.
주피터노트북 서버도 같이 켜져있다면
포트번호는 자동으로 8889로 된다.
[public-IP]:8889 로 접속!
만약 주피터노트북을 켜지않고 주피터랩만 켰다면 8888포트로 접속
No comments:
Post a Comment